삼강(三綱)이란 임금은 신하의 본이 되는 것이고, 어버이는 자식의 본이 되는 것이며, 남편은 아내의 본이 되는 것이다. -명심보감
- 삼강(三綱)이란 임금은 신하의 본이 되는 것이고, 어버이는 자식의.. -
최신 글
보관함
카테고리
More Posts
공(公)을 위한 마음이 만약 사(私)를 위한 마음에 비할 수만 있다면, 무슨 일에선들 옳고 그름을 가려 내지 못하겠는가, 도(道)를 지키려는 마음이 만약 남녀의 정(情)과 같다면 성불한지도 이미 오랠 것이다. -명심보감
- 공(公)을 위한 마음이 만약 사(私)를 위한 마음에 비할.. -
배운 도둑질 같다 , 어떤 일을 버릇이 되어 자꾸 하게 된다는 말.
- 배운 도둑질 같다 , 어떤 일을 버릇이 되어.. -
일정한 형식이나 도덕의 틀을 벗어난 행동을 한다. 번거로운 세속의 예절이나 이런 것을 전부 던져 버리고 돌보지 않고, 세속 밖에서 무위(無爲)에 몸을 맡기는 것이 좋다. 공자가 한 말이라고 장자가 인용한 것. -장자
- 일정한 형식이나 도덕의 틀을 벗어난 행동을 한다. 번거로운.. -
까마귀 날자 배 떨어진다 , 아무 뜻 없이 한 일이 다른 일과 공교롭게 때가 일치하여, 무슨 관계가 있는 것처럼 의심을 받게 되는 경우를 비유하여 이르는 말.
- 까마귀 날자 배 떨어진다 , 아무 뜻 없이.. -
천리길도 한 걸음부터 , 무슨 일이나 그 시작이 중요함을 이르는 말.
- 천리길도 한 걸음부터 , 무슨 일이나 그 시작이.. -
돌부리를 차면 제 발부리만 아프다 , 쓸데없이 함부로 성을 내면 자기에게만 해가 돌아온다는 말.
- 돌부리를 차면 제 발부리만 아프다 , 쓸데없이 함부로.. -
여자란 남자에게 있어서 경작지이다. 그러므로 원하는 대로 일구어라. -마호메트
- 여자란 남자에게 있어서 경작지이다. 그러므로 원하는 대로 일구어라… -
찬탄(讚嘆)이란, 날마다 새로이 불지펴지는 기쁨입니다. -로댕
- 찬탄(讚嘆)이란, 날마다 새로이 불지펴지는 기쁨입니다. -로댕 -
자선은 오직 마음의 미덕일 따름이며, 손의 미덕은 아니다. -에디슨
- 자선은 오직 마음의 미덕일 따름이며, 손의 미덕은 아니다… -
여행이란 젊은이들에게는 교육의 일부이며, 연장자들에겐 경험의 일부이다. -베이컨
- 여행이란 젊은이들에게는 교육의 일부이며, 연장자들에겐 경험의 일부이다. -베이컨 -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