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이 지켜야 할 세 개의 도(道)가 있다. 즉 인(仁), 명(明, 지식의 명찰), 무(武)이다. 사마온공(司馬溫公)의 상주문 중의 한 구절. -십팔사략
- 임금이 지켜야 할 세 개의 도(道)가 있다. 즉.. -
최신 글
보관함
카테고리
More Posts
정신적인 인간이란 세속적인 모든 것을 경험하고 나서 거기에 반발하는 그런 사람이다. -칼릴 지브란
- 정신적인 인간이란 세속적인 모든 것을 경험하고 나서 거기에.. -
인내는 쓰다. 그러나 그 열매는 달다. -루소
- 인내는 쓰다. 그러나 그 열매는 달다. -루소 -
It is no use crying over spilt milk. (엎지른 물은 담을 수 없다.)
- It is no use crying over spilt milk… -
자유와 속박은 한가지이면서 다른 것이 되어야하는 똑같은 필요성의 양면이다. -생텍쥐페리
- 자유와 속박은 한가지이면서 다른 것이 되어야하는 똑같은 필요성의.. -
든 거지 난 부자 , 집안 살림은 형편없으면서 겉으로는 부자 행세를 하는 사람을 이르는 말.
- 든 거지 난 부자 , 집안 살림은 형편없으면서.. -
맥도 모르고 침통 흔든다 , 일의 속내도 모르고 함부로 덤빈다는 말.
- 맥도 모르고 침통 흔든다 , 일의 속내도 모르고.. -
술은 인격을 비춰주는 거울이다. -아르케시우스
- 술은 인격을 비춰주는 거울이다. -아르케시우스 -
우리는 이미 가지고 있는 것에 대하여는 좀처럼 생각하지 않고 언제나 없는 것만을 생각한다. – A. 쇼펜하우어
- 우리는 이미 가지고 있는 것에 대하여는 좀처럼 생각하지.. -
위에 앉은 관리는 단지 높이 뻗어 있는 나뭇가지처럼 높이 앉아 있을 뿐 별반 일은 없고 명리(名利)도 바라지 않고, 백성은 들에서 노니는 사슴처럼 불평도 없이 유유자적하고 있다. 이런 것이 노장(老莊)의 이상적인 사회이다. -장자
- 위에 앉은 관리는 단지 높이 뻗어 있는 나뭇가지처럼.. -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