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격은 우리의 행위의 결과이다. -아리스토텔레스
- 성격은 우리의 행위의 결과이다. -아리스토텔레스 -
최신 글
보관함
카테고리
More Posts
따분한 사람이 방을 나가면 누군가 방에 들어온 듯한 기분이 든다. -탈무드-
- 따분한 사람이 방을 나가면 누군가 방에 들어온 듯한.. -
개똥밭에도 이슬 내릴 날이 있다 , 역경에 처해 있는 사람도 좋은 때를 만날 때가 있다는 말. 쥐구멍에도 볕 들 날이 있다.
- 개똥밭에도 이슬 내릴 날이 있다 , 역경에 처해.. -
몸을 의지해서는 안 되는 곳에 몸을 의지하면 반드시 몸에 위험이 미치는 것이다. 출처진퇴에 극히 조심해야 한다는 말. -역경
- 몸을 의지해서는 안 되는 곳에 몸을 의지하면 반드시.. -
무고한 자를 학대하지 않아야 한다. 순 임금이 한 말. 무고(無告)는 궁핍한 경우에 빠져 있어도 호소할 상대가 없는 사람. 즉 환과고독( 鰥寡孤獨 ). 홀아비, 과부, 고아, 자식없는 늙은이들. -서경
- 무고한 자를 학대하지 않아야 한다. 순 임금이 한.. -
Care is no cure. (근심은 할수록 몸에 해롭다.)
- Care is no cure. (근심은 할수록 몸에 해롭다.) -
네 자식들이 해 주기 바라는 것과 똑같이 네 부모에게 행하라. -소크라테스
- 네 자식들이 해 주기 바라는 것과 똑같이 네.. -
생활한다는 것은 이 세상에서 가장 드문 일이다. 대다수의 사람들은 존재하고 있을 뿐이다. -와일드
- 생활한다는 것은 이 세상에서 가장 드문 일이다. 대다수의.. -
부자간에는 애정이 돈독하고 형제간에는 화목하고 부부간에는 서로 화합하면, 집안의 복이고 집이 비옥해지며 풍요해지는 것이다. -예기
- 부자간에는 애정이 돈독하고 형제간에는 화목하고 부부간에는 서로 화합하면,.. -
장님은 무뉘나 색채의 아름다움을 볼 수가 없다. 이처럼 도(道)를 알지 못하는 자에게는 아무리 훌륭한 말을 들려주어도 아무 소용이 없는 것이다. -장자
- 장님은 무뉘나 색채의 아름다움을 볼 수가 없다. 이처럼.. -
최신 댓글